반응형


저자 히가시노 게이고

역자 권남희

출판사 박하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394487


질풍론도


일본의 유명소설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이다. 하가시노 게이고라는 작가의 명성과 그리고 줄거리를 살펴보니 ‘생물병기’라는 단어가 이 책의 기대감을 한껏 높여줬다.


한 대학의 연구소에서 비밀리에 개발한 탄저균을 이용한 ‘생물병기’ 그 생물병기가 어느날 사라졌다. 생물병기를 가지고간 범인은 전 연구소 직원. 이 생물병기는 공기로 흡입하기만 해도 죽을 수 있는 위험한 탄저균. 용기는 10도 이상에서 깨지도록 설계돼있고 그로인해 스키장이라는 배경으로 시작한다.


범인은 힌트를 남긴체 갑자기 죽고만다. 연구소장 '도고'는 연구소 직원 구라바야시에게 이 생물병기를 찾아오도록 시킨다. 단 경찰에는 알리지 않고 자체적으로 찾는 방법으로. 경찰에 알리게 될 경우 세상의 알려질 그들만의 비밀을 간직하기 위해서다.


'구라바야시'는 탄저균의 위험성을 알고 있기에 '도고'에게 경찰에 알려 빠르게 찾는 건 어떨지 라고 제안한다. 도고는 이유를 막론하고 거절하며 자신의 안위와 연구소의 안위만을 걱정한다. '구라바야시'는 이런 직장상사에 순종할 수 밖에 없는 ‘일개 연구원’ 이다.


수 많은 목숨의 가치보다 자신의 이익을 더 우선시 하는 ‘도고’라는 인물 그리고 무엇이 더 중요한지 알면서도 자신의 직장을 잃을까 두려워 직장상사의 말을 듣는 ‘구라바야시’ 이 두 인물은 단지 소설속에 인물만은 아닐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부실공사를 들 수 있다. 부실 공사는 개인의 이익을 위해 최상의 가치로 둔다. 공사를 계획한 자나 시공하는 자나 이러한 사실을 모두 알고 있는 상태로 공사를 한다. 그로 인해 나중에 발생할 피해보다도 당장 각각이 얻는 이득을 더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소설 끝 부분에 구라바야시 아들 슈토는 경찰에 알릴것을 제안 하며 이렇게 말한다.


“무엇을 위해? 세상을 위해? 국민을 위해? 아니잖아. 자신들을 지키고 싶은 것뿐이잖아.”


이 문장은 내게 꽤나 충격적이었다. 맞다. 요즘 바쁘게 흘러가는 사회속에서 우리는 나를 지키기위해 살고 있는것 같다. 우리가 원하는 따뜻한 세상은 없어지고 있다. 점점더 이기적으로 변해가는 사회다. 개인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 사회다. 이러한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사회일까? 작가는 이 한문장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비판하고 있는것 같다. 


유명한 추리소설 작가답게 한 배경안에 다양한 인물들을 통해 앞으로의 전개를 예상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흥미롭게 전개되며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는 흥미진진한 소설이다. 스키장을 배경으로 하여 스키의 다이나믹한 액션이 소설의 긴장감을 더해주고 있다. 점점 개인의이익만를 우선시하는 우리를 돌아보게하고 다시한번 사회속 구성원으로서의 가치를 생각해볼 수 있게하는 소설이다. (이 소설은 영화로도 개봉됐었다.)

반응형
반응형


저자: 무라타 사야카

역자: 김석희 옮김

출판사: 살림출판사


'보통'사람의 삶이란 어떤 것일까? '보통'사람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주인공 게이코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평범한 인물과는 다른 독특한 인물이다. 유치원 시절 공원의 죽은 새를 보고 어머니가 


"무덤을 만들어줄까?"라고 물어본다. 


게이코는 이에 이렇게 답한다. "이거 먹자" ,"좀 더 잡아올까?"


어머니는 " 이 새는 무덤을 만들어서 묻어주자. 모두가 울고 있잖니. 친구가 죽어서 섭섭한 거야. 불쌍하지?"


게이코는 이렇게 답한다. "왜? 오랜만에 죽었는데."


초등학교에 갓 들어갔을 때 체육 시간에 남자아이들이 맞붙어 싸우는 모습을 보고 도구함에 있던 삽을 꺼내 들고 난폭하게 날뛰는 아이를 후려쳤다. 설명을 요구하는 선생님의 요구에 "말리라고 해서 가장 빠를 것 같은 방법으로 말렸어요"라고 답한다.


게이코가 대학교 1학년이 됐을 때 시작한 편의점 아르바이트는 게이코를 '보통'의 인간이 아닌 '편의점'인간으로 만들었다.

 

작가는 주인공 게이코가 편의점 첫 계산을 마치고 세계의 '부품'이 됐다는 표현을 썼다. 세계의 '부품'으로 18년간 편의점'점원'으로 근무하며 '보통'인간인 직원들의 말투와 행동을 따라 한다. '보통'의 누군가 인척 하며 살아간다. 편의점이라는 공간은 주인공 게이코가 보통의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우리는 '보통'의 인간으로 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에 대한 만들어진 기준이 있고 그 기준을 따른다. 이 기준이 '보통'의 인간과 세상의 속할 수 없는 '보통과는 다른'인간의 기준일까? 


 작가는 글을 통해 나에게 이런 의문을 안겨줬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정말 세상이라는 공장 안에 '부품'이 돼버린 것일지 모른다.'보통'의 인간으로 살아가는 우리는 잘 살고 있는 걸까?


 게이코가 보는 세상에서 '보통'인간들에 세상은 또 다른 특별한 세상이다. '보통'인간인 우리가 보는 게이코와 같은 인간은 '소수'일 뿐이고 이 '소수'는 '보통'인간이 될 수 없다. '보통'의 인간이란 무엇일까 , '보통'의 인간들의 삶이란 무엇일까 작가는 독자들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