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오스 국경이 있는 캄보디아 스텅트렝은 라오스 국경을 넘기 위해 반드시 들러야 하는 도시다. 국경으로 출발하는 봉고차는 보통 12시-1시 사이에 있다. 이 이후에 도착하면 이 날은 국경을 넘을 수 없어 하룻밤을 묵어야 한다. 걱정하지 않아도 될 건 국경도시라 그런지 숙소가 꽤나 많다.


스텅트렝스텅트렝


센모노롬에서 스텅트렝에 도착했을 땐 이미 시간이 늦어 국경을 넘을 수 없었다. 다음 날 국경을 넘어 라오스 '시판돈'까지 가는 봉고차 표를 샀다. 하루에 여유가 생겨버렸고 동네를 한 바퀴 돌아보기로 했다.

 규모가 제법 있는 로컬시장이 있었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시장 구경을 했다. 시장 구경은 역시나 시간 도둑이다. 


로컬시장로컬시장

 

이곳에서 실제로 손저울을 사용하는 모습을 처음 봤다. 요즘처럼 전자저울이 보편화된 시대에 그냥 저울, 심지어 양팔 저울도 아닌 손저울을 사용하는 모습은 놀랍기도 했지만 신선한 충격이기도 했다. 그렇다고 이곳에 다른 모든 상인들이 손저울을 사용하는 건 아니었다.


손저울손저울


 스텅트렝도 메콩강을 옆에 끼고 있다. 잔잔히 흐르는 메콩강을 안주삼아 맥주를 마실 수 있다. 1캔으로 충분하다. 1캔 까지만 온몸으로 달려드는 모기의 공격을 참을 수 있다. 캄보디아 캔 맥주의 비밀을 하나 알려주면 캔 맥주를 따고 캔 뚜껑을 확인해보면 랜덤으로 '한 캔 더 당첨'이 쓰여있는데 뚜껑을 가져가면 한 캔을 더 준다.다만 캄보디아어를 모르면 확인할 수 없으니 캄보디아 능통자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2캔 먹으면 1캔이 나올 정도로 확률이 좋았었다.  


스텅트렝 메콩강스텅트렝 메콩강

 

캄보디아-라오스 국경까지는 봉고차를 타고 2시간 정도 걸린다. 길이 포장된다면 30분이면 갈 수 있을 거리다. 국경에서 여행자들은 걸어서 국경을 넘는다. 국경에서 직원들은 도장비를 요구하는데 거절하면 도장을 찍어주지 않으니 방법이 없다. 이 돈은 다 국경지역 공무원들 뒷주머니로 들어가는 돈이다. 아예 여권에 2달러를 꽂아서 줘야 도장을 찍어준다. 실랑이를 하는 외국인을 봤지만 결국에는 주는 수밖에 없다. 한 봉고차로 여러명이 함께 이동하는데 한 사람이 돈을 안 주면 국경 직원들은 도장을 절대 찍어주지 않는다. 그래서 남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선 방법이 없다.

 

라오스 국경으로 가면 비자 받을 수 있다. 한국인은 당시 라오스에 무비자로 15일간 체류할 수 있었다( 최근에 30일로 바뀌었습니다. ) 라오스 일정이 꽤나 길어질 걸로 예상 비자를 받았는데 비자를 발급받는데도 이런저런 명목으로 3달러를 뜯겼다. 많은 돈을 뜯어가진 다들 포기하고 그냥 지불한다. 뭐 이런식으로 진행되니깐 이런 악습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거 아닐까.


 잘 알려진 핫플레이스보다는 숨은 여행지를 찾아다녔던 캄보디아. 여행지 정보도 부족했고 이동하는 게 쉽지는 않았지만 자연 그대로의 캄보디아를 만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글이 도움이 됐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끄라쩨에서 버스로 4시간 반 동쪽으로 이동하면 패키지여행은 존재하지 않는 자유여행을 하는 여행자들에게만 허락된 곳 몬돌끼리주의 센모노롬이 있다. 조용한 변두리 여행지를 찾는 자유여행자들에게 최적화된 도시가 아닐까 싶다. 해발 800m에 위치한 센모노롬은 캄보디아의 더운 날씨에에 지친 여행자들에게는 오아시스 같은 곳이다. 사실 높은 지대에 위치해 있지만 낮에는 똑같이 덥다. 저녁이 되면 선선한 날씨로 변한다. 볼 거리가 많이 있다. 주변에 현지인들도 많이 찾는 폭포도 있고, 소수민족이 사는 마을을 가볼 수도 있으며 커피농장에 들러 갓 로스팅 한 신선한 커피를 마셔볼 수도 있다. 난 보지 못했지만 코끼리를 볼 수도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방갈로 숙소가 있다.  


방갈로방갈로오토바이오토바이


오토바이를 빌릴 수 있다. 아까 언급한 여러 볼거리들은 걸어서는 갈 수 없는 거리에 있다. 오토바이를 빌려 자유롭게 가볼 수 있다. 오토바이를 못 타는 여행자의 경우 오토바이 기사를 동행해 하루 원하는 곳을 갈 수도 있는데 가격이 많이 차이 난다. 


센모노롬센모노롬센모노롬센모노롬


가까운 거리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폭포까지 여러 개 폭포가 있다. 센모노롬 시내에서 가장 가까운 폭포는 현지인들이 피서지로 많이 이용한다는 모노롬 폭포다. 당시 해외에서 오토바이 운전은 처음이라 멀리 갈 용기가 안나 모노롬 폭포를 선택했다. 비수기였는지 모노롬 폭포에 사람이 없었다. 폭포라고 하기엔 물도 조금 흘러 내려왔다( 물이 마른 비수기가 분명하다). 주변에 사람이 한 명도 없어 수영도 못하는 내가 물속에 들어갔다 혹시 문제가 생길까 무서워 물에 들어가 보진 않았다. 물이 깨끗해 보이지도 않았다.


모노롬폭포모노롬폭포모노롬폭포모노롬폭포


현지인들의 소풍 장소가 한 군데 더 있었다. '싸뭇채우'라고 불리는 에메랄드빛 숲인데 시기가 안 맞았던 건지 잘못 찾아간 것인지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싸뭇채우싸뭇채우싸뭇채우싸뭇채우


소수민족이라도 보자. '부농족'이라는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 마을이 있다고 했다. 인터넷이 없는 내가 미리 알아둔 '부농족' 마을 주소를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지도 어플 입력해 찾아갔다. 여행자들이 찾는 곳이라면 분명히 표시가 있을 거라 생각했으나 주소를 따라 도착한 곳에는 아무런 표시도 없었다. 마을이 조성돼 있었고 캄보디아어로 적인 팻말이 있어 여기가 '부농족'이 사는 마을인가라는 생각은 들었다. 아무튼 난 '부농족'이 사는 정확한 마을은 찾지 못했다. 다만 '부농족'으로 생각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문명과는 단절된 마을을 찾았다. 이게 '부농족' 마을이엇기를 희망해본다.


부농족마을부농족마을인가?돼지싸움돼지싸움


커피농장은 제대로 찾아갔다. 커피농장 규모가 꽤나 커 다 돌아보진 않았다. 커피농장 입구에 커피를 구매할 수 있고 커피를 마셔볼 수 있는 가게가 하나 있다. 가난한 배낭여행자였던 난 커피를 마시지도 구매하지도 않았으나 신선한 커피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곳이다.


커피꽃커피꽃커피농장커피농장


여행지를 사전에 꼼꼼하게 조사하지 않아 빡빡한 일정이 돼버리는 바람에 만족스러운 여행지는 아니었다. 내 선택으로 하루가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자유여행의 묘미다. 아직까지 몬돌끼리 주 센모노롬은 가는 길이 쉽지 않아 여행자들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진 않지만 볼거리가 다양해 캄보디아 자유여행을 하는 여행자들에게 핫플레이스가 되고 있다.  



다른 여행기>>

2018/09/16 - [캄보디아/끄라쩨] - [끄라쩨] 아름다운 메콩강 일몰과 민물 돌고래를 볼 수 있는곳

2018/09/15 - [캄보디아/캄퐁참] - [캄퐁참] 캄퐁참 혹은 깜뽕짬 이름도 생소한 캄보디아의 숨겨진 여행지

2018/09/14 - [캄보디아/씨엠립] - [씨엠립]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마지막 일정 앙코르와트,앙코르톰

2018/09/14 - [캄보디아/씨엠립] - [씨엠립]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일출을 보다.

2018/09/13 - [인도네시아/발리(우붓)] - [발리] 발리의 핫플레이스 예술가들의 마을 우붓











반응형
반응형

숙소를 옮겼다. 캄보디아 씨엠립에 도착 후 조사(?) 없이 묵었던 게스트하우스였다. 깨끗하고 좋은 게스트하우스였지만 예산에서 조금 벗어난 게 마음에 걸렸다. 동행과 함께 게스트하우스를 찾기 시작했다. 한 게스트하우스를 찾았다. 동행중 한 명이 나한테 말했다.


"별점이 높잖아. 예산 상관없이 여기서 묵어야 돼."  


같이 게스트하우스를 찾아보기로 해 놓고 마음속으로 이미 정해진 곳으로 나를 데려갔다. 


동네 한 바퀴


그 후에 '난 더 못 돌아다니니깐 알아서 해' 라는 태도로. 짐을 푸는 걸 보고 "그럼 전 혼자 갈게요"라는 말을 남기고 그 자리를 떴다. 혼자 숙소를 찾아다녔다. 대낮에 캄보디아 날씨는 정말 뜨겁다. 해가 내 피부를 쌔게 때리고 있었고 땀은 비 오듯 흘렀다. 터벅터벅 걷다가 발견한 한 게스트하우스. 이름이 정글 게스트하우스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도미토리룸이 2.5달러였다. 



물론 에어컨을 기대하진 않았다. 창이 없이 뚫린 가 건물에 침대가 몇 개 있고 화장실이 있는 곳이었다. 이곳은 아직까지도 잊히지 않는 게스트하우스가 됐다. 3일을 이곳에서 보냈다. 화장실이 가장 하이라이트였는데 녹이 슨 호수 탓인지 물탱크 탓인지 샤워를 할 때마다 강한 쇠 냄새를 맡을 수 있었다. 양치를 할 땐 쇳물로 양치하는 느낌을 받았다. 마음속으로 '잠만 자는 곳이다. 잠만 자는 곳이다'를 얼마나 외쳤는지 모르겠다. 그래도 돈을 아꼈으니깐. 


정글 게스트하우스 입구정글 게스트하우스


게스트하우스를 찾았으니 다음은 앙코르와트에 가기 위한 툭툭이 기사를 찾아야 했다.


 

앙코르와트는 크기가 어마어마해 걸어 다닐 수 없다. 자전거를 빌려타거나, 오토바이를 빌려서 혼자 도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론 여러 명이 툭툭이를 섭외해 가고 싶은 곳을 가는 방법이 있다. 동행이 있었기에 후자를 택했다. 툭툭이 기사는 걸어 다니면서 직접 섭외할 수 있다. 또는 길거리에 여행사를 통해 섭외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격이 조금 더 비싸다. 직접 섭외하는 경우에도 가격이 천차만별이니 여러 군데 물어 보고 정하면 좋다.


인상 좋은 아저씨를 만났다. 아저씨가 환한 미소와 함께 말 하는게 좋아서 오늘 하루 우리 일정을 맡기기로 했다. 미리 정한 루트(론리 플래닛을 참조했다.)를 보여주고 가격을 흥정한 후 투어를 시작했다.


11939아저씨11939아저씨


앙코르와트 3일권을 구매했다. 당시 40달러로 구매했는데 요즘 정보에 의하면 앙코르와트 입장료가 올랐다고 한다. 1일권이 37달러, 3일권 62달러 7일권 72달러.

너무 많이 올라서 깜짝 놀랐다. 앙코르와트를 1일권만 끊어 스몰 투어를 할 순 있지만.. 앙코르와트가 가진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느끼기엔 너무나 부족하다. 3일권 아니면 7일권을 끊고 여유 있게 돌아보는 게 맞는데.. 너무 많이 올랐다.


이제 준비는 끊났다. 이동수단도 있고 입장권까지 구매했으니 앙코르와트를 느끼고 즐길일만 남았다. 




반응형

+ Recent posts